펫푸드

반려견 코티즈치즈

모두의 ROOM 2025. 4. 22. 19:54
728x90
반응형

코티즈치즈는 반려견 음식을 만들 때 자주 사용되는 재료에요. 

케이크를 만들 때도 쿠키를 만들 때도 코티즈 치즈 한 스푼 더하면 아이들이 훨씬 더 잘 먹고요. 

그냥 간식으로 줘도 참으로 좋아한답니다. 

그래서 오늘은 여기저기 활용도 좋은 코티즈 치즈 만드는 방법 알려드릴게요. 

 

반려견 코티즈 치즈

왜 수제 코티지 치즈가 좋을까요?

시중 제품의 위험성

일반 코티지 치즈에는 반려견에게 해로운 소금, 설탕, 방부제 등이 포함되어 있어요. 이런 성분들은 장기적으로 반려견의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수제의 장점

직접 만든 코티지 치즈는 첨가물 없이 순수한 영양소만 담겨 있어요. 양질의 단백질을 공급하면서 칼슘도 풍부해 뼈 건강에도 도움이 됩니다.

 


필요한 재료

락토프리 우유 1리터

저지방 우유가 권장됩니다. 반려견의 소화에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서에요.

레몬즙 2큰술

식초로 대체 가능해요. 우유 단백질을 응고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선택 재료 

꿀 아주 소량(단맛을 원할 경우만). 소금은 반려견에게 좋지 않으니 피해주세요.

 


 

만드는 방법

락토프리 우유 가열하기

냄비에 우유를 넣고 중불에서 가열합니다. 끓기 시작할 때까지 기다려주세요.

레몬즙 첨가

우유가 끓기 시작하면 불을 약하게 줄이고 레몬즙이나 식초를 넣습니다.

응고 기다리기

우유가 덩어리지기 시작하면 약 5분 정도 더 끓여줍니다.

걸러내기

치즈 천이나 거즈를 깔고 체에 부어 유청이 빠져나가도록 약 1시간 기다립니다.

 


영양 정보와 급여 방법

단백질

반려견의 근육 발달과 유지에 필수적인 영양소

칼슘

튼튼한 뼈와 치아 형성에 도움

프로바이오틱스

장 건강 증진과 소화 기능 향상

코티지 치즈는 간식으로만 제공하세요. 소형견은 티스푼 1개, 중형견은 테이블스푼 1개, 대형견은 테이블스푼 2개 정도가 적당합니다. 처음 급여할 때는 소량부터 시작해 반려견의 반응을 살펴보세요.

 


 

다양한 활용 방법

간식으로 그대로 제공

그냥 코티지 치즈만으로도 맛있는 간식이 됩니다. 특별한 날 보상용 간식으로 좋아요.

사료와 믹스

건사료나 습식사료에 소량 섞어주면 식이섬유와 함께 영양 균형을 높여줍니다.

얼린 트릿

실리콘 몰드에 넣어 얼리면 더운 여름날 시원한 간식이 됩니다.

약 복용 도우미

약을 먹이기 어려울 때 코티지 치즈에 숨겨 급여하면 효과적입니다.

 


주의사항

꼭 락토프리 우유를

사용해 주세요

보관 기간

직접 만든 코티지 치즈는 냉장 보관 시 최대 3-4일까지만 사용하세요. 변질된 음식은 절대 급여하지 마세요.

적정량 급여

아무리 건강한 간식이라도 과다 섭취는 비만을 유발할 수 있어요. 전체 식단의 10% 이내로 제한하세요.

수의사 상담

특별한 건강 문제가 있는 반려견은 코티지 치즈 급여 전 반드시 수의사와 상담하세요.

 


반려견의 행복한 식사 시간

제 강아지가 유제품을 소화할 수 있을까요?

성견의 약 70%는 유당을 어느 정도 소화할 수 있습니다. 코티지 치즈는 유당 함량이 낮은 편이라 비교적 안전하지만,

소량부터 시작해 설사나 구토 같은 이상 반응이 있는지 살펴보세요.

 

코티지 치즈를 얼마나 자주 줄 수 있나요?

주 2-3회 정도가 적당합니다. 간식은 전체 식이의 10%를 넘지 않도록 하고, 균형 잡힌 식단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해요.

 

모든 강아지 품종에게 적합한가요?

대부분의 품종에게 적합하지만,

특별한 식이 제한이 있는 경우(신장 질환, 비만, 특정 알레르기 등)에는 수의사와 상담 후 급여하세요.

퍼그나 불독과 같은 평평한 얼굴을 가진 품종들은 유제품에 더 민감할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펫푸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곰팡이성 피부염을 앓고 있는 반려견 관리  (35) 2025.04.23
반려견이 지렁이를 좋아하는 이유?  (49) 2025.04.22
비오는 날 반려견 부침개 레시피  (21) 2025.04.22
반려견 새우깡  (28) 2025.04.21
소형견 산책 팁  (37) 2025.04.21